사용하는 자원에 따라 동작이 달라지는 클래스에는 정적 유틸리티 클래스나 싱글턴 방식이 적합하지 않다.
public class SpellChecker {
// 유연하지 않고 테스트하기 어렵다.
private final Lexicon dictionary = ...;
public SpellChecker(Lexicon dictionary) {
this.dictionary = Objects.requireNonNull(dictionary);
}
}
클래스가 여러 자원 인스턴스를 지원해야 하며,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자원을 사용해야 한다.
이 조건을 만족하는 패턴이 있으니, 바로 인스턴스를 생성할 때 생성자에 필요한 자원을 넘겨주는 방식이다.
public class SpellChecker {
// 유연하지 않고 테스트하기 어렵다.
private final Lexicon dictionary = ...;
private SpellChecker() {}
public static SpellChecker INSTANCE = new SpellChecker();
}
또한 이 패턴의 변형으로 생성자에 자원 팩터리를 넘겨주는 방식도 있다.
Mosaic create(Supplier<? extends Tile) tileFactory) { ... }
의존 객체 주입이 유연성과 테스트 용이성을 높여주나, 의존성이 많은 프로젝트에서는 코드가 어지러워진다.
그래서 스프링과 같은 의존 객체 주입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면 복잡함을 해소할 수 있다.
'독후감 > Effective 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7. 다 쓴 객체 참조를 해제하라 (0) | 2021.04.01 |
---|---|
6. 불필요한 객체 생성을 피하라 (0) | 2021.03.31 |
4. 인스턴스화를 막으려거든 private 생성자를 사용하라 (0) | 2021.03.18 |
3. private 생성자나 열거 타입으로 싱글턴임을 보증하라 (0) | 2021.03.18 |
2. 생성자에 매개변수가 많다면 빌더를 고려하라 (0) | 2021.03.18 |